set()

data1 = ('split() 함수는 문자열을 쪼갤 구분자를 지정할 수도 있고, 구분자를 기준으로 최대 몇번 쪼갤지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.')
data1
'split() 함수는 문자열을 쪼갤 구분자를 지정할 수도 있고, 구분자를 기준으로 최대 몇번 쪼갤지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.'

공백으로 자르기

data1.split()
['split()',
 '함수는',
 '문자열을',
 '쪼갤',
 '구분자를',
 '지정할',
 '수도',
 '있고,',
 '구분자를',
 '기준으로',
 '최대',
 '몇번',
 '쪼갤지도',
 '지정할',
 '수',
 '있습니다.']

두 개의 집합의 교집합 찾기

data2 =('구분자 지정없이 split()만 쓴다면 공백을 구분자로 나누게 됩니다.')
data2
'구분자 지정없이 split()만 쓴다면 공백을 구분자로 나누게 됩니다.'
data_s1 = set(data1.split())
data_s2 = set(data2.split())
data_s1 & data_s2
set()
data_s1
{'split()',
 '구분자를',
 '기준으로',
 '몇번',
 '문자열을',
 '수',
 '수도',
 '있고,',
 '있습니다.',
 '지정할',
 '쪼갤',
 '쪼갤지도',
 '최대',
 '함수는'}
data_s2
{'split()만', '공백을', '구분자', '구분자로', '나누게', '됩니다.', '쓴다면', '지정없이'}

합집합

data_s1 | data_s2
{'split()',
 'split()만',
 '공백을',
 '구분자',
 '구분자로',
 '구분자를',
 '기준으로',
 '나누게',
 '됩니다.',
 '몇번',
 '문자열을',
 '수',
 '수도',
 '쓴다면',
 '있고,',
 '있습니다.',
 '지정없이',
 '지정할',
 '쪼갤',
 '쪼갤지도',
 '최대',
 '함수는'}

차집합

data_s1 - data_s2
{'split()',
 '구분자를',
 '기준으로',
 '몇번',
 '문자열을',
 '수',
 '수도',
 '있고,',
 '있습니다.',
 '지정할',
 '쪼갤',
 '쪼갤지도',
 '최대',
 '함수는'}
data_s2 - data_s1
{'split()만', '공백을', '구분자', '구분자로', '나누게', '됩니다.', '쓴다면', '지정없이'}

교집합을 제외한 집합

data_s1 ^ data_s2
{'split()',
 'split()만',
 '공백을',
 '구분자',
 '구분자로',
 '구분자를',
 '기준으로',
 '나누게',
 '됩니다.',
 '몇번',
 '문자열을',
 '수',
 '수도',
 '쓴다면',
 '있고,',
 '있습니다.',
 '지정없이',
 '지정할',
 '쪼갤',
 '쪼갤지도',
 '최대',
 '함수는'}

집합을 리스트로 바꾸기

data_l = data_s1 & data_s2
data_l
set()
list=[data1]
print(list)
['split() 함수는 문자열을 쪼갤 구분자를 지정할 수도 있고, 구분자를 기준으로 최대 몇번 쪼갤지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.']
list=[data_l]
list
[set()]
data_l2 = data_s1 | data_s2
list=[data_l2]
list
[{'split()',
  'split()만',
  '공백을',
  '구분자',
  '구분자로',
  '구분자를',
  '기준으로',
  '나누게',
  '됩니다.',
  '몇번',
  '문자열을',
  '수',
  '수도',
  '쓴다면',
  '있고,',
  '있습니다.',
  '지정없이',
  '지정할',
  '쪼갤',
  '쪼갤지도',
  '최대',
  '함수는'}]